Critic : A Secret Room of Plants

A Secret Room of Plants

   We not only see the works, but also listen to the story they tell in < A Secret Room of Plants> by Jangpa. The exhibition features paintings on canvas as well as an animation the based on a scenario written by the artist, and a miniature stage where the story unravels. The artist induces the audience to an act of reading rather just watching the exhibition by using various media. I duly enter this secretive place with the invitation of the artist.

   At first sight, a red brick house appears over a hill thickly covered with grass. The grass fully covering the frame is pointy and sharp. The thickness of the grass seems to depict a summer landscape, but the atmosphere is cold and filled with an unknowable tension. The red brick house at a distance looks sturdy and solid. Wondering what images are inside the closed window of that house with sharp roof, I walk forward.

  The next picture I come to face is a painting filled with tropical plants. The pink and red plants look like they are either swaying or bleeding. A multitude of plants in different shapes which occupy the entire scene makes me nervous. Caught in a strangeness not felt in typical paintings of grass and flowers I move on to the following painting.

  It is clear now that the place to which the artist invites us is in fact the red brick house. The artist has given suggestion of this in a picture that shows a low fence made of the same red brick. Here we see large red flowers flanked by smaller white flowers and plenty of grass. I assume that the garden seen earlier leads to the house. There is a white dog in the bushes just outside the fence. The dog, aroused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its pointed teeth, dishevels the flowers and grass, mercilessly trampling the plants. What does this scene mean? I take a moment to find a connection between the images that I have passed through. What is it that needs to be discovered?

   In order to solve this puzzle, I have a feeling that I must go back to the red brick house seen at the beginning. I feel obligated to know what happened inside of it. By chance I had the opportunity to glimpse into it. Inside the house was that white dog which was present outside. But here the inner walls of the house appears to be falling apart, and the ceiling and walls are painted in bewildering colors. What had the dog experienced inside this house? If I could find out the reason, would it shed light to the violence the dog has displayed?

Domestic Horror

   In a previous exhibition titled <Domestic Horror>, the artist talks about a private secret room. The artist has been living with an abnormal person who has mental disorder. The moment he unleashed violence upon the people around him, the artist’s home has become a place of horror. The people around him do not even try to understand or find the reason, and instead retaliate with an even greater violence which embroils to continuous conflicts and even more violence…… The artist, who is a mediator and observer of the situation, is in constant fear of another violent outbreak in the household. <Domestic Horror> is thus an autobiographical story of the artist.

   The self-consciousness of a pers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environment one has grown up. Though it is subject to intrinsic error, the fact that humans cannot shun their family is the first existential experience one confronts in life. Therefore even the denial of one’s family, whether conscious or unconscious, is a recognition of this mutual connection. Jangpa talks about the experience inside the house which dominates and oppresses the self-consciousness in <Domestic Horror>. The artist delves into the experience of family and home which holds a grip upon the ego.

   What we need to focus on above all else is the observation of the personal experience the artist has endeavored. It was shown in the previous works, <your brother>(2005) and <Untitled>(2005), and a self portrait series titled <Excuses>(2005) in which the artist expresses the fears and horrors felt in the household. But instead of languishing in the face of the problem, the artist tries to underst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with open eyes. In this way, the artist reviews past emotions by drawing on a private story and watches the pictures together with the audience. The distancing and watching from and of one’s own experience is primarily a psychological act of self healing. Through this process Jangpa has begun to reflect on the sociostructural paradox to which the artist’s own experience is adjacent to.

Reproduction of violence and again… 

   In this respect, <a secret room of plants> is a autobiographical story with a deeper insight. The artist assumes that everyone possesses an animal instinct, one which is pure, and even though that desire itself may also be pure, if one is not taught to desire in a socially correct way it can be distorted. This is the situation on which Jangpa focuses on.

    In a world where everything is judged by economic efficiency, what defines the normal and abnormal is whether one is capable of economically productive activity. Therefore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people learn to desire the desires acceptable by capitalist society. Without knowing that their desire system is the product of a capitalist society based on market economy, human beings take economic efficiency for granted and use it against the abnormal to discriminate, exclude, and cause violence on them.

   Now we can infer how the artist’s brother has been treated. People have found out immediately that he cannot correctly desire and achieve like others. Subsequently the normal  discriminated him by the means of economic efficiency. In numberous occasions, in fact in most circumstances physical violence accompanied discrimination. It was a structural violence forced upon an individual who is unable to function in a capitalist society. According to Lacan’s theory, he failed to internalize the social law, or the second stage of Oedipus, Law-of-the-Father. He is forever subordinated in the realm of the imaginary. Although unable to understand the cause of violence nor solve them due to his inability for average reasoning, he has learned to counter violence with violence. Thus the once naive and pure animal instinct has turned into violence.

   The red brick house which appears in Jangpa’s work is a symbol in which the organized desires of modern society operates, and the white dog is a compound of animal instinct, carnivoreness, and violence which retaliates the violence inflicted by reality principle with its own violence. The plants, to which desires were never projected, are subjected to an education of violence. Through this analogy, the artist exposes the very thin line that divides the civilized and barbaric. Dichotomy maybe an incomplete or fictional idea, as many post modern thinkers have gone lengths to deconstruct. The good and the bad, day and night, civilization and barbarism, and finally the normal and abnormal are all artificial antagonistic concepts. But they are still deeply embedded in the principles of which society operates. The artist’s explanation to the hidden principles is, “because the animal instinct is excluded from the organized desires of modern society, and the violence of reality principles which regulates the animal instinct is clinically tolerated.” <a secret room of plants> is a secret story of Jangpa and at the same time one that society hides. The reason that this work bears more meaning is becase the artist has drawn insight from a very personal experience.

Written by   Seon Mi Lee (Art Theory), 2009

a secret room of plants

장파의 <식물들의 밀실(a secret room of plants)>展에서는 작품을 보는 것 뿐 아니라, 작품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전시장에는 캔버스 위에 그려진 그림들과 함께 작가가 직접 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이 상영되고, 시나리오의 상황이 벌어지는 연극무대 미니어처가 전시되어 있다. 이렇게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작가는 관람자로 하여금 보는 행위보다는 읽는 행위를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제 장파가 초대한 작가의 비밀스러운 공간으로 들어가 보겠다.
먼저, 풀이 무성한 언덕 너머에 붉은 벽돌집이 보인다. 화면을 빽빽하게 가득 채우고 있는 풀들은 삐죽하고 날카롭다. 풀이 무성한 것을 보면 한 여름날의 풍경 같지만 들판의 분위기는 차갑고 알 수 없는 긴장감이 맴돈다. 멀리에 있는 벽돌집은 단단하고 견고해 보인다. 지붕 끝이 날카로운 그 집의 닫힌 창문 속에는 어떤 장면이 있을지 궁금해 하며 발걸음을 옮긴다.
그 다음 마주친 그림은 열대 식물들로 가득한 정원이다. 이 그림 속의 분홍빛 꽃과 붉은 꽃들은 흔들리는 것 같기도 하고, 피를 흘리는 것 같기도 하다. 여러 모양의 풀과 꽃이 빈틈없이 자라고 있는 이 풍경은 불안함을 느끼게 한다. 일반적으로 풀과 꽃이 그려진 그림에서와 다른 낯선 감정을 느끼며 다음 그림으로 시선을 돌린다.
이제 작가가 초대한 곳이 붉은 벽돌집이라는 것을 눈치 챌 수 있게 되었다. 작가는 붉은 벽돌로 된 낮은 담장이 보이는 그림을 통해 우리에게 힌트를 주었다. 여기에는 커다란 붉은 꽃들과 작은 흰 꽃 몇 무리와 풀이 가득 그려져 있다. 아마도 바로 전에 본 그 정원이 집 바로 옆까지 이어져 있는 것 같다. 그런데, 담장 밖 풀 속에는 흰 개 한 마리가 있다. 개는 발기 한 채 꽃과 풀들을 마구 헝클고 날카로운 이빨을 보이며 식물들을 짓밟고 있다. 이 장면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잠시 지금까지 본 이미지들의 연관성을 추적해본다. 과연 무엇이 있는 것일까?
이 퍼즐을 맞추기 위해서는 다시 처음의 붉은 벽돌집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생각이 스친다. 그 안에서 벌어진 일을 알아야 할 것 같다. 마침 벽돌 집 안을 들여다 볼 수가 있었다. 그 곳을 보니 밖에서 보았던 그 흰 개가 집 안에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벽돌집의 내부는 무너져 내리는 것 같고, 벽과 천장에는 강렬한 대비를 이루는 색들이 어지럽게 칠해져 있다. 이 집 안에서 흰 개가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 그 이유를 알게 된다면 개가 보여준 폭력적인 행동의 의미를 알 수 있을까?

Domestic Horror

장파의 이전 <가정적 공포(Domestic Horror)> 연작에서 자신의 “밀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작가는 정신장애를 가진 ‘비정상’적인 사람과 같이 살아왔다. 그가 주변인들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 시기부터 작가에게 집은 공포의 공간이 되었다. 그의 폭력적인 행동을 이해하거나 원인을 알려고 하지 않고 더 큰 폭력으로 그에게 대응하는 주변인들, 계속되는 갈등과 폭력…… 그 상황의 중재자이자 관찰자인 작가는 집에 있는 시간 내내 폭력적인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지 걱정하고 긴장한다고 한다. 이러한 장파의 자전적 이야기가 <가정적 공포>에서 다루어졌다.
인간의 자의식이란 자신이 자란 환경과 분리 될 수 없다. 본질주의적 오류의 위험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인간이 자신의 가족을 피할 도리가 없다는 점에서 가족은 세상에 던져진 인간이 마주하는 첫 실존적 경험이다. 따라서 자신이 자란 가족에 대한 거부조차,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자의식과 가족의 유착관계를 인정하는 것이 된다. 장파는 <가정적 공포>에서 자신의 자의식을 지배하고 억압하는 ‘집 안에서의 경험’에 대해 말했다. 작가는 자신의 ‘자아’를 붙잡고 있는 가족과 가정에서의 경험 속으로 파고들었다.
여기에서 다른 무엇보다도 주목할 점은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관찰하고 있다는 것이다. 작가는 집에서 경험한 것을 <your brother>(2005)와 <Untitled>(2005)에서 보여주고, 작가의 자화상인 <변명중>(2005)에서는 집 안에서 작가가 느끼는 불안감과 공포를 표현했다. 그렇지만 그림 속에서 작가는 무기력하게 문제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두 둔을 뜨고 자신을 둘러싼 상황을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는 것 같다. 이렇게 본인의 이야기를 그려냄으로써 작가는 그 일화들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다시 바라보게 된다. 그리고 다른 관람자들과 함께 작가 역시 그림을 감상한다. 이러한 장파 자신의 경험에 대한 ‘거리두기’와 ‘바라보기’ 작업은 일차적으로 자기치유적 효과를 얻는 심리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작가는 이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경험에 닿아있는 사회구조적 모순에 대해 성찰하기 시작하였다.
Reproduction of violence and again…

장파의 <식물들의 밀실>은 이러한 맥락에서 자전적 경험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더 깊은 통찰이 이루어졌다. 작가는 동물적 본능은 모두가 가지고 있고 순수한 것이며, 욕구는 순수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올바르게 욕망하는 법을 배우지 못해서 왜곡되어 버리는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경제적 효율성이 모든 것의 판단 기준인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상인’과 ‘비정상인’을 나누는 가장 근본적인 기준은 경제적 생산 활동의 가능여부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사회화 과정에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욕망을 욕망하는 법을 배운다. 그것이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만들어진’ 욕망체계라는 것은 모른 채, 사람들은 당연하게 경제적 효율성을 기준으로 ‘비정상적’인 것을 구별하고 배제하고 폭력을 가한다.
이제 작가의 형제가 어떻게 ‘취급’되었는지 추론가능하다. 사람들은 그가 올바르게 욕망할 수 없고 올바르게 성취할 수 없다는 것을 한눈에 알았다. 그 다음에는 ‘정상인’의 경제적 효율성에 근거한 차별이 이루어졌다. 이 차별에는 종종 아니 거의 신체적, 물리적 폭력이 수반되었다. 그가 당한 폭력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능할 수 없는 구성원에 대해 구조적으로 이루어지는 폭력이었다. 라깡의 이론에 비추어보면 그는 오이디푸스의 두 번째 단계인 아버지의 질서, 즉 사회의 질서를 내면화하는 단계로 이행하지 못했다. 그는 영원히 상상계에 종속되어 있는 것이다. 평균적인 사고가 불가능한 그는 폭력의 원인을 이해하지 못했고 해결할 수도 없었지만, 폭력에 폭력으로 대응하는 법을 배웠다. 결국 그가 가진 천진하고 순수한 동물적 본능은 폭력성으로 변환되었다.
장파의 작업에 등장하는 붉은 벽돌집은 현대사회의 조직화된 욕망이 작동하는 공간을 상징하고, 흰 개는 동물적 본능 및 육식성과 폭력성이 복합된 존재로서 현실원칙이 가하는 문명의 폭력에 폭력적으로 대응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식물은 욕망에 투영된 것 없는 개체에서 폭력을 학습당하는 개체이다. 작가는 이러한 상징적인 대상들을 이용하여 우리에게 문명과 야만 사이에 지극히 얇은 막이 존재한다는 것을 폭로한다. 이미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에 의해 해체되었듯이, 이분법적 사고체계는 불완전하거나 허구의 개념일 수 있다. 선과 악, 낮과 밤, 문명과 야만 그리고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대립항은 사회가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것일 뿐이다. 하지만 그것은 아직도 사회를 움직이는 원리들 속에 깊숙이 숨겨져 있다. 이렇게 은닉되어 있는 원리에 대해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조직화된 욕망에서 배제된 동물적 욕망과 그러한 동물적 욕망을 규제하는 현실원칙이 폭력적으로 내성화되어”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장파의 <식물들의 밀실>은 자신의 비밀스러운 이야기이자 사회가 숨기고 있는 이야기이다. 이번 장파의 작업이 더 의미 있게 다가오는 이유는 바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통찰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 있을 것이다.

글 : 이선미 (미술이론), 2009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