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 The World until Yesterday

The Coordinate of the Other World

Q: The works in the current exhibition seem to use icons with symbolic meanings and appropriate other existing works. In specific, how did you start the series in which you take mountains and their shadows reflected on water as subjects?

A: The works started from questions, “Where i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what can that center tell us?” I think our curiosity about the center of the world is similar to our interest about the origin of the world. But we still cannot know the origin of the world. The methodology of the law of casualty cannot reveal that origin. Rather, we cannot help but talking about the world where existence that does not exist exists. We do it through results with incomprehensible causes and via states with results with reasons that we cannot comprehend. In such a way, the law of casualty minutely reveals the non-existence within all existence. Not a single existence is an ultimate cause to itself. Thus, nothing can possess the power to rely on itself.

According to the Buddhist worldview, there is an imaginary mountain at the center of the world. It is called Xumishan. The Kailas Mountain in Tibet is thought of as a real model of Xumishan-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in Hindu and Buddhism. Xumishan is a subject matter of my stop-motion animation piece titled <The World until Yesterday> and a painting series named <Here Before>.

In the works, the reflection of a mountain, which is considered as the center of the world, melts away. But its illusion still remains. The absence enables the expression of existence. In other words, the starting point of the works was the absurdity and inconsistency of the law of casualty.

Q: If so, to human beings, what does the ‘absence’ or ‘incomprehensibility’ of the cause of existence and of the center of the world mean?

A: The recognition of the center of the world itself is clear in terms of epistemology. However, it is ontologically unclear. Or, we can say, “There only exists a self-aware self at the center of the world.”

However, the continuous confirmation of self through the existence of others is also a ‘postmodern review of Rene Descartes.’ What would be the way for a finite being to overcome the world of the law of casualty? It might be to sense his need of the relative coordinate that is the existence of the other, to enrich ‘the sense of altruism towards others’ and to move the axis when one cannot change his fixed coordinate. It is similar to what Theodor Adorno has said as he insisted that the epistemological effort to accept others discovers its potential when it moves beyond mere relationship of exchange.

<Unharmonic Angle> also tells the ability of non-existence to express existence through the theme of ‘burning candle,’ which is one of the icons in vanitas painting that warns the finitude of life. In regard to changing coordinates by tilting the axis, my previous work, <The End of the World> was an attempt to find new coordinates through a story of catastrophe. However, <The World until Yesterday> rather moves the axis of the world itself.

The Coordinate for Faith That is Called Rationality

Q: There is a notable work that borrows Caravaggio’s painting. Please explain the concept of the work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works.

A: <Faithful Façade> borrowed a part of Carravaggio’s <The Incredulity of Saint Thomas>. I then edited the original work in which Thomas puts his finger into Jesus’ body to believe the revival of the messiah and drew a triangle on it. Caravaggio’s original painting is originated from the Gospel of John(20:27)of which the theme is ‘faith.’ In the story, Thomas, one of Jesus’ 12 disciples, does not believe the revival of Jesus since he did not witness it with his own eyes. He comes to believe it only after he put his finger in a cut on Jesus’ side.

“Then saith he to Thomas, Reach hither thy finger, and behold my hands; and reach hither thy hand, and thrust it into my side: and be not faithless, but believing.”(John 20:27)

The lines from John are consistent with a Latin phrase, “Credo quia absurdum(I believe it because it is unresonable).” The phrase, known to be said by Tertullian, is used when one expresses the transcendence of faith beyond reason in Christianity. When it is used by atheists, however, it also means a blind faith that ignores reason. In fact, the origin of the phrase is virtually unknown. The original “The Son of God died. It is obviou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ertullian said, “Certum est, quia impossible(It is certain because it is impossible).” The phrase, mistakenly quoted as Tertullian’s, shows that faith does not require any evidence. Rather, faith itself becomes the evidence. Faith presupposed evidence, but the evidence can be acquired only through faith. This is the same with the circular argument of the law of casualty.

Q: Do you think the law of casualty within the rational thought system and religious faith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 I certainly think there is such an aspect. It might be a question on an epistemological strategy to examine the incomprehensibility of the world. Rationality is also based on a certain belief, which does not require any logical proof, such as a proposition that becomes automatically true without any proof. In the end, the foundation of reason is belief.

In <Faithful Façade>, I tried to show the logical proof or a faith beyond reason. Or, I attempted to display the ‘allegory of faith’ that is called reason. I have done it by covering the finger of Thomas in his disbelief by a shape of a triangle. Here, the triangle is identical to the triangle that Plato has mentioned. It is a triangle as an idea, which is to say that it is a conceptual triangle that is comprehended as it is via a rational inference.

A Human Tilting

Q: There is also a work that reminds of Albrecht Dürer’s <Melancholia> from its title. What is the reason behind choosing a representative image of iconological interpretation?  

A: <Melancholia> is an etching by Albrecht Dürer, which shows a woman with wings is in a deep reflection. She is resting her chin on her hand while holding a compass with her other hand. Around her, there are various objects such as a ball, a polyhedron and a dice. The image expresses melancholy that is accompanied by the realization of human limitation after experimenting with every possible way “through geometry(more geometrico)” which is a rational way of thinking.

<The Logic of Melancholia> is a work in which I overturned the direction of an image of <Melancholia> that I have set. The subtitle of the work is “Deduction & Induction.” The work assumes two directional movements in the two ways of logic. It assumes deduction as a movement from the top to bottom and induction as a movement with opposite direction. It present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rids and the resulting outcome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two logical methods. By applying a logical demonstration on a superficial level, the work places its viewers at the center of transience as <Melancholia> has shown that human life cannot be explained through rational thoughts.

Detouring the Failure

Q: Among the works in the exhibition, <Count as One > features ‘a pyramid of egg yolks.’ Is it a different icon compared to the ones in the mountains and shadows series or the triangle in < Faithful Façade>? 

A: Egg is frequently used as a metaphor of the figure of the universe. Egg yolk is especially compared to the center of the universe. <Count as One> is conceived from the concept. I think that it is a natural desire to crave one’s axis mundi(the center of the world) for finding a coordinate of one’s existence. Egg yolk is a subject matter that can symbolize such central point.

To create a tower with egg yolks seems to be a job that is more impossible than to stand an egg without breaking it. Finding their central coordinates to stand by themselves seem to be impossible as well. However, in <Count as One>, egg yolks are stacked in a shape of a pyramid on a mirror that reflects them. Though multiple centers are created by reflecting the shape of a triangle on a mirror, what is created is merely an isolated world that reflects itself. In the face of an act that is at best a construction of a tower with egg yolk, which is utterly far from challenging something or practicing a plan that is destined to fail, we can find ourselves feel absurd and laugh.

Again, the World until Yesterday

Q: Different from the paintings presented your solo exhibition in 2011, <The End of the World>, the works at the current exhibition seem to have changed towards more refined and metaphorical direction.

A: I think about a question, “Would it be possible to get a coordinate of the position on which I’m standing?” If <The End of the World> was filled with a series of futility and meaninglessness, the attempt to locate the center of the world might be strewn with frustration and failures.

<Boundlessness> has appropriated the intro scene of David Lynch’s movie <Lost Highway>. It is a video that shows a scene where landscape in front of a car is identical to that refelected in a rear-view mirror. By endlessly repeating the scene, the work shows a vacuum state in which there are no coordinates between the difference of infinity and boundlessness.

Q: Lastly, it would be good to hear your vision and your explanation on the core concepts of your work such as ‘the absence of origin and center’ and ‘human being’s recognition of his coordinate.’

A: Maybe, we can overcome the world governed by the law of casualty by finding our senses towards the others. To live through our lives while not forgetting the fundamental meaninglessness of life and to match our own coordinates to those of others might be ways to do it. It is to try to approach a certain numerical value through an endless repetition as in the computation of calculus, even though it is predicted to fail. This is the world of today that is different from the world of yesterday.

interviewer: Lee, seon-mi (Art Theory)

interviewee: Jang Pa (Artist)

2013

다른 세계의 좌표

Q: 이번 전시의 작업들에서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 도상이나 기존 작품을 다양하게 차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과 산이 물에 비친 그림자를 소재로 한 연작들은 어떻게 시작하게 된 것인가? 

A: 이 작업들은 “세계의 중심은 어디일까? 그리고 그 중심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했다. 우리가 세계의 중심을 궁금해하는 것은 세계의 기원을 알고 싶어 하는 마음과 같다고 본다. 그러나 이 세계의 기원은 여전히 알 수 없다. 인과율의 방법론으로는 그 기원을 밝힐 수가 없다. 오히려 원인을 알 수 없는 결과, 결과는 있지만, 원인을 알 수 없는 상태를 통해 없는 존재가 존재하는 세계를 이야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렇게 인과율은 실존하는 모든 존재에 있는 비존재를 극명히 드러낸다. 어떤 존재도 자기 자신이 궁극적인 원인이 아니므로 자기 자신을 의지할 힘을 소유하지 못한다.

불교적 세계관에는 세계의 중심에 솟아 있다는 상상의 산인 수미산(須彌山)이 있다. 실제로 티베트에 있는 카일라스(kailas) 산이 힌두교와 불교에서 신성이 깃든 세계의 중심, 수미산으로 여겨진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인 <어제까지의 세계 The World until Yesterday>와 회화연작 <Here Before>는 세계의 중심인 수미산을 소재로 한 작업이다.수면에 비친, 세계의 중심이라 여겨지는 산이 녹아내려 없어지지만, 그것의 환영은 그대로 남아 있다. 오히려 부재가 존재를 말할 수 있게 된다. 인과의 부조리가 이번 작업의 시발점이었다.

Q: 그렇다면 인과율적 존재의 원인과 세계의 중심이 ‘부재’하다는 것 혹은 ‘알 수 없다’는 것이 인간 존재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A: 세계의 중심에 대한 인식 자체는 인식론적으로 분명하지만, 존재론적으로는 불확실하다.

즉 ‘세계의 중심에는 사실 그것을 인식하는 자기 자신밖에 없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존재 위치는 끊임없이 타자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는 것 역시 ‘데카르트 (Rene Descartes)의 포스트모던한 복습’이다. 자신의 존재가 타인이라는 상대적 좌표가 필요하다는 것을 감지하는 것, ‘이타성에 대한 감각’을 충만히 하는 것, 그리고 나의 고정된 좌표를 바꾸지 못한다면 축(axis)을 이동하려는 시도, 그것이 유한한 존재가 인과율의 세계를 극복하는 방식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아도르노(Adorno, Theodor)가 타인의 존재를 받아들이려는 인식론적 노력이 교환관계를 넘어설 때 비로소 그 가능성이 발견된다 했듯이.

<조화롭지 않은 기울기 Unharmonic Angle> 역시 비존재가 존재를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삶의 유한성을 경고하는 바니타스(vanitas) 정물화의 도상 중 하나인 ‘타고 있는 초’를 통해 말하고 있다. 축을 기울여지게 하여 좌표를 변화시키는 것, 이전 작업 <세계의 끝>이 폭발하여 모든 것이 침식되어 파국을 맞이하는 이야기로 새로운 좌표를 구하려 시도했다면 <어제까지의 세계>는 세계의 축을 이동시킨다.
이성이라는 믿음의 좌표

Q: 카라바지오의 그림을 차용한 작품이 눈에 띈다. 작업의 개념과 다른 작업과의 연관성에 관한 설명을 부탁한다.

A: <Faithful Façade>는 <도마의 불신 The Incredulity of Saint Thomas>의 일부분을 편집하여 도마가 예수의 부활을 믿기 위해 손가락을 넣어 확인하는 부분에 삼각형을 그려 넣은 작업이다. 카라바지오(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의 이 작품은 성경 요한복음 20장 27절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주제는 `믿음’에 관한 것이다. 열두 제자 중 도마는 예수의 부활을 목도하지 못해 이를 믿지 않았으나, 예수의 옆구리에 난 상처에 손가락을 넣어보고 나서야 믿게 되었다.

“네 손가락을 이리 내밀어 내 손을 보고 네 손을 내밀어 내 옆구리에 넣어보아라, 그리하고 믿음 없는 자가 되지 말고 믿는 자가 되어라.”

이 말은 “불합리하므로 믿는다.(Credo quia absurdum)”는 어구와 일맥상통한다. 교부 테르툴리아누스(Tertullian)가 한 말로 알려진 이 말은 교회 내에서 믿음은 이성을 초월하는 것임을 말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고 한다. 그러나 무신론자들이 사용할 때는 이성을 무시하는 맹목적인 믿음을 뜻하기도 한다. 사실 이 말은 테르툴리아누스의 말이 아닌 작자불명의 어구이다. 원래 그는 “신의 아들은 죽었다. 그것은 확실하다. 왜냐하면, 불합리하므로 믿어져야 한다(certum est, quia impossible).”라고 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테르툴리아누스의 말인 것으로 잘못 인용된 “불합리하므로 믿는다.”는 말은 믿음에는 증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히려 믿음 자체가 거꾸로 증거가 된다. 믿음이 있으려면 증거가 있어야 하는데, 그 증거 자체가 믿음을 통해서만 얻어진다. 이것은 인과율적 순환논법과 같다.

Q: 이성적 사고 체계 안에서의 인과율과 종교적 믿음이 같다고 보는 것인가?

A: 그런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세계의 불가해성을 파헤치는 인식론적 전략에 대한 물음일지도 모른다. 이성 역시 논리에 대한 믿음 위에 서 있다. 증명 없이 참인 명제와 같이 논리적인 증명이 요구되지 않는 존재. 이성의 기반은 결국 믿음이다. <Faithful Façade>에서 불신을 드러내며 증거를 확인하는 도마의 손가락 부분을 삼각형으로 가려버림으로써 논리적 증명, 즉 이성 위에 있는 믿음, 아니 이성이라는 ‘믿음의 알레고리’를 보여주고자 했다. 여기에서 삼각형은 플라톤의 삼각형과 동일하다. 표상으로서의 삼각형, 즉 이성적 추리를 통하여 삼각형 그 자체를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관념의 삼각형이다.

인간적인 기울기

Q: 작품 제목에서 뒤러(Albrecht Dürer)의 멜랑콜리아를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 있다. 도상학적 방법으로 해석되는 대표적인 그림을 소재로 선택한 이유가 있다면?  

A: 알브레히트 뒤러의 동판화 <멜랑콜리아 Melancholia>에는 원구, 다면체, 주사위 등이 널려있는 곳에 날개를 달고 있는 여인이 팔을 괴고, 한 손에는 컴퍼스가 쥐어진 채 골똘히 생각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성적 사고인 “기하학의 방식으로(more geometrico)” 모든 것을 실험했지만 실패한, 인간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동반하는 우울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The Logic of Melancholia>는 뒤러의 <멜랑콜리아>의 이미지의 방향을 설정하여 아래위를 바꾸어 엮은 작업이다. 부제로는 연역과 귀납(deduction & induction) 인데, 일반적인 원리를 근거로 구체적 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는 연역법의 방향성을 위에서 아래, 반대로 개별적 사실을 논거로 하여 일반적 원리를 이끌어내는 추론방식인 귀납법의 방향성을 아래에서 위로 설정하여 두 가지 방식이 교차했을 때 만들어지는 수직과 수평의 그리드와 그 결과를 보여주는 작업이다. 논증 방식을 언어 그대로 표피적으로 대입함으로써, 인간의 삶이 이성적 사고에 의해서 설명되지 않는 것을 보여준 <멜랑콜리아>의 그것처럼 덧없음의 한가운데로 보는 이를 위치시키는 작품으로 기획했다.
실패를 우회하기

Q: 작업들 가운데 <하나로 셈하기>에서 바로 보이는 것은 ‘계란 노른자 피라미드’이다. 산과 그림자 연작이나 <Faithful Façade>의 삼각형이 의미하는 것과 다른 의미의 도상인가? 

A: 계란은 우주의 모습을 은유하는 상징으로 많이 쓰이고, 특히 계란 노른자는 우주의 중심으로 곧잘 비유되기도 한다. <하나로 셈하기 Count as One>서는 이 부분에 착안한 것이다. 자기 존재의 좌표를 갖기 위해서 자기 내부의 중심, 즉 엑시스 문디(axis mundi)를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열망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계란 노른자는 이 중심점을 상징하기에 충분한 소재다. 계란 노른자로 탑을 쌓는 것은 계란을 깨지 않고 세우는 것보다 더 불가능해 보인다. 자기 스스로 존재할 수 있는 중심 좌표를 찾는 것도 마찬가지로 불가능해 보인다. 그러나 <하나로 셈하기 Count as One>에서 계란 노른자는 삼각 피라미드의 모양으로 그 모습이 반사되는 거울 위에 쌓아져 있다. 삼각형 형태를 거울에 비춤으로써 복수의 중심이 생겨나지만, 그것은 고립된 자기반영적 세계이다. 실패가 예견된 기획을 심각하거나 비장한 결의로 가득한 도전이 아닌, 기껏해야 계란노른자 탑 쌓기에 불과한 행위 앞에서 실소하는 우리를 발견할 수 있다.

다시, 어제까지의 세계

Q: 2011년에 열렸던 개인전 <세계의 끝 The End of the World>에서 보여준 회화와 달리 이번 전시의 작품들은 더 은유적이고 정제된 느낌으로 변화한 것 같다.   

A: ‘과연 현재 내가 딛고 있는 위치의 좌표를 구하는 것이 가능할까?’를 생각해본다. <세상의 끝>은 파국 시대의 허무함과 무의미의 연쇄로 가득 찼다면, 세상의 중심을 구하고자 하는 시도 역시 좌절과 실패로 점철될지도 모른다. <Boundlessness>는 데이비드 린치의 영화 <Lost Highway>의 인트로 장면을 차용하였다. 질주하는 차 안에서 보이는 앞의 광경과 뒤를 보기 위해 사용하는 룸미러에 보이는 광경이 동일한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작업이다. 그 장면을 무한 반복함으로써 무한(infinity)과 무계(boundlessness)의 차이 속에 좌표 없는 진공상태를 보여준다.

Q: 마지막으로 작업을 관통하는 개념인 ‘기원과 중심의 부재’, 그리고 ‘인간 존재의 좌표 인식’에 대해 작가의 설명과 비전을 듣고 싶다.

A: 어쩌면 우리는 삶을 살아내며 삶의 근원적 무의미를 망각하지 않고, 자신의 좌표를 타인의 좌표에 맞추려 노력하는 것, 그것이 인과율의 세계에서 타자에 대한 감각을 찾아 나섬으로써 그 세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일지 모른다. 예견된 실패이나 미적분의 반복처럼 무한히 반복되어 그 값에 근접할 수 있도록 시도하는 것. 그것에 어제까지와는 다른 오늘의 세계이다.

interviewer: 이선미 (미술이론)

interviewee: 장파 (작가)

2013

error: Content is protected !!